Page 11 - 2015_송도수학
P. 11

11
                                                                                                          Songdo High School














                                        고등학교 3학년
                                        Interview 中






                                               Q.일주일에 40시간을 수학을 공부한다던데, 어떻게 그런 계산이 나오나?
                                                   일단 학교 수업시간이 하루에 한 시간 정도는 꼭 있습니다. 거기에 숙제하는 시간,
                                                  수업 준비하는 시간까지 하면 적어도 두 시간은 더 필요합니다. 또 방과 후 수업도 있어서 수학을 듣고 있고요.
                                                  그리고 수업 마치고 자율학습을 할 때 수학문제를 푸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Q.그럼 평일에는 다섯 시간씩 계산하고 주말은?
                                                   주말이 더합니다.
                                                  금요일은 숙제를 더 많이 내주시거든요. 주말에 학교숙제 하는 시간으로 최소 두 시간씩은 계산해야 합니다.

                                               Q.학원 수업에 대해서는 어떻게 되나요?
                                                  주말엔 한 번가면 2시간 정도 수업하고 숙제는 빨라야 한 시간 반, 최소 2시간은 걸립니다.
                                                  또 복습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 우리는 분명, 수학을 공부해야하는 이유가 있다!




               첫째, 세상살이에 도움이 된다!

               수학을 푸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해결방식은 세상을 잘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합리적인 문제해결방식과 너무나도 닮았다.


                           수학                         일상
                1. 문제를 꼼꼼히 읽는다.            1. 상황을 꼼꼼히 파악한다.

                2. 주어진 조건을 따진다.            2. 상황의 특수성을 파악한다.
                3. 해결 가능한 전략을 세운다.    3. 해결 가능한 전략을 세운다.

                4. 차분히 풀어본다.               4. 차분히 행동한다.




               둘째, 두뇌 향상

               인간은 평생 자신의 두뇌를 고작 1%밖에 못쓴다고 알려져 있다. 뇌의 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의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우리가 공부하고
               있는 수학을 통해서도 두뇌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문제를 수학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도 모르게 수학적 사고능력이 발달하게 되는데, 계속해서 공부를
               하게 된다면 뇌의 활성화 영역이 점점 커져서 결과적으로 뇌를 발달시킬 수

               있다.



               셋째, 경쟁력 강화

               미국의 한 취업사이트가 조사한 결과, 2014년도 최고의 직업이 바로 수학자라고 한다.
               그다음이 통계학자, 보험 계리사인데. 수학지식을 필요로 하는 직업들이 상위를 차지했다. 넘쳐나는 정보들 속에서 복잡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여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수학적 사고능력이 빅데이터 시대에 큰 힘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6   7   8   9   10   11   12   13   14   15   16